반응형
Page Relevancy
검색엔진에서 질의어는 사용자가 검색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명시적인 행동이다.
명시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질의어를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무엇인지? 사용자의 검색의도는 어떠한지를 나타내주는 것이 '질의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질의어'만으로는 사용자의 검색요구나 검색의도 등을 알 수가 없다. 대부분의 '질의어'들이 한, 두단어로 이루어져있는데다가 중의성을 포함하고 있기때문이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검색대상 문서내에 사용자의 질의어의 분포 등을 수학적 모델을 통해서 계산하여 사용자의 질의어에 가장 적합한(relevant)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Page Relevant가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모델이다.
Hakia의 People Relevancy
위에서 언급한대로 한두단어 밖에 되지 않는 사용자의 질의어는 의미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경우도 많으며, 질의에 대한 context나 사용자의 피드백 등을 반영하여 좀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제공하려고 하는 시도들이 많다.
그중에서도 사용자와 동일한 질의어를 입력한 사용자 집단의 행동 패턴(click stream)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검색엔진은 검색질의어 입력후 사용자가 click & browsing을 통해서 결과를 일일이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밖에 없도록 되어 있다.
대부분 상위의 검색결과를 확인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사용자가 어떤 결과를 클릭했고, 얼마나 오랫동안 살펴보았는지 등에 대한 back data가 있다면, 해당 결과에 대한 가중치를 높여서 좀 더 상위에 나오게 한다든지를 통해서 검색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사실 Hakia의 People Relevancy는 일종의 Social Search, Collective Filtering 등의 다른 이름의 다른 시도와 유사한 시도이기는 하다.
하지만, 앞으로 Multi modal 인터페이스가 나오기전까지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질의어의 단어수는 현재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고 사용자의 검색의도나 검색요구와 함께 사용자의 검색 context를 인지할 수 있다면 보다 적합한(Relevnat)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검색엔진에서 질의어는 사용자가 검색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명시적인 행동이다.
명시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질의어를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무엇인지? 사용자의 검색의도는 어떠한지를 나타내주는 것이 '질의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질의어'만으로는 사용자의 검색요구나 검색의도 등을 알 수가 없다. 대부분의 '질의어'들이 한, 두단어로 이루어져있는데다가 중의성을 포함하고 있기때문이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검색대상 문서내에 사용자의 질의어의 분포 등을 수학적 모델을 통해서 계산하여 사용자의 질의어에 가장 적합한(relevant)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Page Relevant가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모델이다.
Hakia의 People Relevancy
[출처 : Hakia Blog, http://blog.hakia.com/?p=184]
위에서 언급한대로 한두단어 밖에 되지 않는 사용자의 질의어는 의미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경우도 많으며, 질의에 대한 context나 사용자의 피드백 등을 반영하여 좀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제공하려고 하는 시도들이 많다.
그중에서도 사용자와 동일한 질의어를 입력한 사용자 집단의 행동 패턴(click stream)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현재의 검색엔진은 검색질의어 입력후 사용자가 click & browsing을 통해서 결과를 일일이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밖에 없도록 되어 있다.
대부분 상위의 검색결과를 확인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사용자가 어떤 결과를 클릭했고, 얼마나 오랫동안 살펴보았는지 등에 대한 back data가 있다면, 해당 결과에 대한 가중치를 높여서 좀 더 상위에 나오게 한다든지를 통해서 검색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사실 Hakia의 People Relevancy는 일종의 Social Search, Collective Filtering 등의 다른 이름의 다른 시도와 유사한 시도이기는 하다.
하지만, 앞으로 Multi modal 인터페이스가 나오기전까지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질의어의 단어수는 현재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고 사용자의 검색의도나 검색요구와 함께 사용자의 검색 context를 인지할 수 있다면 보다 적합한(Relevnat)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Techn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선검색은 어떻게 될까? (0) | 2008.01.07 |
---|---|
검색엔진에서 가장 중요한 컴포넌트는? (2) | 2007.12.31 |
검색엔진 전문커뮤니티, 자랩(ZaLab) (3) | 2007.12.12 |
사람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검색엔진, 나루검색 (3) | 2007.11.21 |
국통검을 아시나요? (0) | 2007.10.25 |
무선검색과 웹 검색의 목표 (0) | 2007.10.08 |
Magic Quadrant for Information Access Technology, 2007 (0) | 2007.10.01 |
검색의 미래 Search 2.0 - 사람들이 생각하는 Search 2.0 (1) | 2007.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