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nology

Semantic Searchengine의 시대가 오는가?

by 마루날 2008. 3. 20.
반응형
국내 semantic 전문업체인 시맨틱스에 의해 개발된 Qrobo[각주:1]가 CeBIT 2008에서 공개되었다.

그리고 시맨틱스의 글로벌 경쟁업체라고 하는 Hakia에서는 처음으로 자신의 솔루션 중 일부를 라이센스를 통해서 RiverGlass라는 웹 정보 분석솔루션 업체에 공급하였다.

새로운 서비스를 론칭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지만, 비즈니스가 일어났다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한 것 같다.

아무튼 이제 본격적으로 Semantic Search의 시대로 접어든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드는데, 이번 비즈니스에 대해서 미국에서도 이슈가 되었던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글의 경쟁상대인지? 아니면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의 검색엔진인지? 등등의 많은 얘기들이 오가고 있다고 한다. 구글의 독주가 몇 년째 계속되다 보니 경쟁자의 출현에 다들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 같다.

Hakia의 CEO인 Riza C Berkan 박사가 Hakia 블로그에 직접 올린 글중에서 일부이다.

However, we need to make one small correction to misunderstandings that appear here and there: Are we a Google killer? Are we competing with Google-esque search engines? Are we a specific application search engine?

hakia is a general purpose “semantic” search engine whereas Google-esque are general purpose “statistical” search engines. As a semantic search engine, hakia is being developed to fulfill different needs of a different type of on-line searchers. These differences refer to potential benefits (yet not fully realized) within the boundaries of “general purpose” utility. If it sounds confusing I would’t blame you.

Let me throw an example. If the user enters the query “benefits of aspirin”, Google-esque search engines will rank results by popular opinion (via link referrals). Popular opions are formed by millions of ordinary people rather than by a small group of the designers of the drug at Bayer. Therefore, there is no alternative view available on the Web today, alternative being a different criteria, different perspective, perhaps the perspective of credibility, freshness, applicability, feasibility, depth, and so forth.

If you were going to take aspirin and wondering about the benefits of it, versus you may have a weak heart, versus you might be a genetics researcher. Again, depending on who you are, the perspective of ranking search results can vary. Using Google-esque search engines, we are always seeing one fixed perspective. hakia is about to enrich this experience.

For the reasons I am trying to explain, hakia’s competitive position is undefined, and hakia’s promise is not built on competing for the same turf with others. Note that other semantic search start-ups are saying similar things, thus there is an independently formed concensus about it: Semantic technologies will bring out something new about the Web that is hard to place in any competitive scale.

[원문 : http://blog.hakia.com/?p=258 ]


Semantic Search가 이번 시맨틱스의 Qrobo 공개에서도 주장한 바이지만, 핵심 중 하나인 온톨로지 등을 구성할 때 완전 자동화를 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각주:2]

그래서, 구글과 같은 Statistical 검색처럼 도메인이 관계없이 비슷한 수준의 Scalability를 보여주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에 특정 도메인에 한정되게 제공하는 식으로 포지셔닝을 가져가게 된다.

그런데, 이번에 시맨틱스와 Hakia가 서로 경쟁자이면서도 완전히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서 흥미롭다.

Hakia는 자신의 솔루션을 미국에서 유행하는 API형태로 제공하면서 모든 웹의 인터랙션의 인프라가 되겠다는 생각으로 접근하고 있고(검색이 아닌 그리고 나쁘지 않아 보인다.) 시맨틱스는 정공법으로 Semantic Search로 기존 검색 패러다임을 바꾸려고 하고 있다.

앞으로 검색의 관심사는 검색 대상인 '데이터'에서 검색 사용자인 '사람'으로 옮겨와야 하지 않을까? user의 Intention, Needs에 대한 답을 해주어야 하는 것 아닐까?

과연 어떤 길이 정답일까?
비즈니스에서 정답이란 것은 존재하지 않지만



  1. 근데 왜 불여우버전은 없나? 인터넷 익스플로러만 지원하는게 이상하다 -_- [본문으로]
  2. 그런 면에서 시맨틱스의 완전자동화는 놀랍고 혁신적인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데, 과연 완전자동화인지 궁금하다. [본문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