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188 소녀시대 멤버 인터넷 선호도 1위는 서현~ 요즘은 소녀시대가 대세이다. 나는 인터넷 공간의 브랜드/제품/서비스 평판 모니터링, 인터넷 공간을 통해서 드러나는 고객의 브랜드/제품/서비스 만족도/선호도 조사 등을 대행하여 자동화해서 수집/분석하는 BuzzInsight.net라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그래서 소녀시대에 대해서 조사를 좀 해보았다. ^^ 1. 인터넷 구전 추이 연예인들은 팬들의 관심을 먹고 사는 사람들이다. 그만큼 자신들의 이야기가 사람들에게 회자되는 것 만큼 좋은 일을 없다. 뭐 무관심보다는 악플을 달아 달라는 연예인도 있지 않나.. 2007년 8월에 데뷔한 것으로 알고 있는 소녀시대는 작년에 몇 가지 이슈가 있었는데, 2008년 6월 드림콘서트에서 소녀시대의 공연 동안 관중들이 침묵으로 일관해서 멤버들이 울고 난리 났던 일이 있었.. 2009. 3. 24. 기업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잊고 있는 것 이명박을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것이 '도대체 이야기를 해도 듣지 않는 것 같다'는 소위 '소통의 부재'를 이야기 한다. 그리고 그 소통의 부재의 대표적인 사례가 '명박산성'일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귀를 닫아 버린 것 같은 '소통의 부재'가 오늘의 기업들에게도 존재하는 것 같다. [CRM/BI] - 블로그가 미디어가 되는 이유에서 이야기 했었지만, 기업의 고객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자신의 경험과 생각과 느낌을 솔직하고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하는 시대가 되었지만, 기업들은 들을려고 하지 않는 것 같다. 최근의 주최한 행사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질문들 중에 하나가 '기업에서 어떻게 블로그를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었다. 사실 대부분의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담당자들이 아직은 블로그나 인터넷을 통한 고객과.. 2009. 3. 11. 새로운 네이트 검색을 사용해보니 검색이라는 것이 어느 수준까지는 아주 쉽게 접근하고 구축하고 서비스가 가능하지만, 어느 수준을 넘어서면 그때부터는 넘을 수 없는 사차원의 벽 같은 것이 느껴진다. 보통 서비스나 솔루션이든 제품이든지 간에 소비자나 사용자의 '니즈'를 알고 그 니즈를 채워 줄 수 있는 '가치'가 우리의 서비스, 솔루션 또는 제품에 있다면 소비자나 사용자는 소비하고 사용하게 된다. (물론 여러가지 예외나 고려사항을 무시하고 단순화해서 말하면 그렇다는 것이다.) 이번에 개편된 네이트 검색을 살펴보니, 2009/02/16 - [정보검색] - 네이트의 도전에서 걱정했던 대로 찻잔속의 태풍으로 그칠 것 같아 보인다. 사실 네이트를 볼 때마다 느끼는 것은 '답답함'이다. SKT와의 시너지효과를 내지 못하는 것의 답답함이 그것인데, 반.. 2009. 3. 9. 포털의 승부처는 블로그 검색이다. 인터넷의 발달로 한 사람이 인지 가능한 정보의 량을 넘어선 정보의 폭주가 시작되면서 사람들은 선별적으로 정보를 얻고 사용한다. 그래서 더 '검색'이 중요한 것이 되어버린 것이다. '검색'은 뭔가를 찾는 '도구'였지만, 검색을 하는 행위가 사람들의 한정된 자원인 'attention'을 분배하고 활용하는 행위가 되면서, 미디어가 이슈를 제기해서 사회적인 관심을 이끌고 거기에 대한 공감대를 만들어내는 등의 역할을 '검색'이 대신하는 말 그대로 검색이 미디어가 되어버리는 상황이 된 것이다. 인터넷 초기만 해도 주요 웹사이트로 이어지는 허브로서 말그대로 관문역할을 했던 포털이 검색으로 사용자들의 'attetion'을 유통할 수 있게 되면서 포털의 승승장구는 계속되었다. 사용자의 'attention'에 대해서는 김.. 2009. 2. 26. 네이트의 도전 네이트가 엠파스와 합병하면서, 검색분야에 대하여 도전을 선언했다. 네이트 현재 국내 3대 포털(네이버, 다음, 야후)의 하나로 자리잡으려면, 검색이 핵심이 될 수 밖에 없다. 이번 목표는 검색점유율을 5% ->15%로 늘리기라고 한다. 관련기사 : SK컴즈, 검색시장 재기 노린다 네이트 공지 : 멀티미디어가 강화된 검색 결론은 네이트 검색을 많이 사용하도록 하는 것인데... 많이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 대부분의 검색엔진 사용자들은 적어도 2,3군데에서 검색을 하게 되는데, 첫 번째 사용하는 검색엔진은 네이버니까 적어도 2번째나 3번째 검색을 하는, 그것도 서너 번에 한번씩 사용하는 검색엔진이 되겠다는 것이 소박한 목표가 될 것 같다. 어떻게 하면 많이 사용하도록 해야 할까 원칙적으로야 사용자들의 검색.. 2009. 2. 16. 검색의 Collective Filtering + SN = 구글 서치위키 사용자 참여형 검색서비스 지난번 검색서비스의 미래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검색에서의 사용자 참여형 서비스가 구글의 서치위키이다. 우리나라도 사용자 참여라는 측면에서 꽤 성공한 서비스가 있다. 검색서비스라고 우기는 네이넘의 지식in인데, 사용자참여형 서비스는 맞지만, 검색서비스가 아니라 검색을 위한 컨텐츠 구축 시스템일 뿐이다. 2009/01/16 - [정보검색] - 2009년 검색서비스의 미래 구글(영문)에서 VOC라고 검색을 하면 다음과 같이 검색결과가 보여진다. 구글코리아의 검색결과와 달리 SearchWiki라는 것이 보인다. 구글의 SearchWiki 서비스는 크게 3가지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검색결과 랭킹 조정 검색결과 코멘트 추가 검색결과 리스트에 추가/삭제 구글 SearchWiki 1. 검색결과.. 2009. 1. 22.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