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nology188

MicroHoo는 아직도 Google의 쨉이 안된다. 다음은 미국의 시장조사 전문업체인 컴스코어의 웹검색시장 관련 자료이다. 위에 나와 있는 컴스코어의 자료를 보면, 시장점유율은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여전히 Google이 65 vs. 28로 MicroHoo에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하지만, 이 자료를 공개하면서 Searcher Penetration(침투율)로 보자면 84 vs. 73으로 차이가 크지 않다는 이야기를 한다. 관련기사 : MS가 구글을 따라잡으려면? 관련 기사를 보니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하여 침투율(Penetration)이라는 개념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나도 생경한 용어여서 좀 찾아보았더니, searcher penetration, which is measure of who might use a search engine 이였다. 우리가 보통 이라.. 2009. 8. 18.
기업의 소셜미디어 대응전략의 전환 기업들의 입장 영어가 짧다 보니 구독은 하고 있었지만, 이제서야 꺼내서 읽어보다가 재미있는 포스트를 발견했다. 솔직하게는 요즘 한참 구현하고 있는 서비스와 관련이 있어서 이기도 한데... 관련글 : Social Media CRM: What Are the Rules of Engagement? 국내에도 많은 기업에서 기업 또는 브랜드 차원의 블로그를 직접 또는 대행사를 통해서 만들어서 소셜 미디어를 통한 대화에 나서고 있다. 사실 이것이 진정한 대화이고 소통인지에 대해서는 고민스럽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블로그가 유입되는 댓글이나 트랙백에는 대응하지만, 적극적으로 다른 블로그로 찾아가서 대화를 나누지 못하기 때문이다. 강 건너 불 구경 하듯이 블로그를 만들어 놓고 내 이야기만 하면서 다른 사람들이 찾아오기만을.. 2009. 8. 13.
트위터가 왜 인기일까? 트위터의 인기요인 뭐 트위터 사용법은 이제 검색을 해도 대충 많이 나오기 때문에 알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왜 이 서비스가 주목을 받고 인기를 끄는지 알고 싶은 사람이 많았을 것 같은데, 얼마전에 LG경제연구원의 자료가 잘 정리되어 있어서 소개해 본다. 보고서 원문 : 트위터, 기업과 고객의 소통채널 될까 Yahoo Censorship Still Sucks, Part Four by Thomas Hawk 1. 단순함에서 오는 이용 편리성이다. - 140글자의 단순함은 댓글처럼 부담없이 남길 수 있고 - 너무 짧지도 않아서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할 수 있다. 2. 접근 용이성이다 - 사실 트위터때문에 오즈폰을 살까 심각하게 고민할 지경인데, 다양한 모바일 기기에서 활용가능하다 3. 기존 소셜 .. 2009. 8. 5.
트위터와 미투데이는 근본이 다르다 재미있는(?) 기사 요즘은 왠만한 기사는 인터넷을 통해서 보게 되는데, 비슷한 내용이 홍수처럼 쏟아내다 보니 낚시질이 유행이다. (가끔 기자 = 낚시꾼 이라고 생각될 때가 많다) 오늘도 제대로 낚시질이 되는 기사를 보았다. 트위터 vs 미투데이, 국내 시장의 승자는 누구? 아무리 현재 인터넷 서비스 시장에서 통용되는 게임의 법칙이 '트래픽'이라고 해도, 이 시점에서(제대로 시장이 형성되지도 못한) UV를 가지고 승자를 논하는 것 자체가 우스울 따름이다. 근본이 다른 두 서비스 트위터와 미투데이가 사람들을 헷갈리게 하는 것은 140글자(트위터)와 150글자(미투데이)로 제한된 입력 글자수를 가지고 있는 마이크로 블로깅 서비스라서 똑같은 녀석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글자수의 제한이라는 형식이 마치 두 서비스가.. 2009. 7. 29.
hakia vs. Google 결과는? hakia Semantic search를 한다고 하는 업체가 몇개 있는데, 작년에 MS에 인수된 Powerset과 Hakia가 대표적이다. Semantic search라고 하면, 사용자의 질문의 의도와 뜻을 이해하여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검색이라고 할 수 있다. 2007/06/18 - [검색엔진]Hakia 하지만, 사용자의 질문의 의도와 뜻을 이해하기보다는 질문과 의도를 문장으로 받아서 처리하는 수준이지, 의도와 뜻을 이해하지는 못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의도와 뜻을 파악하는 것은 최소한 추론이라는 과정이 있어야 그나마 뜻과 의도를 이해한다고 이야기할 수 있는 것 아닌가 생각된다. 어찌되었든 Powerset이나 hakia 모두 구글에 대한 대항마라기 보다는 구글이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장단위의 질의를 처리하.. 2009. 7. 15.
3. Listening Platform 주요 업체들 - TNS Cymfony [이전글] 2009/06/15 - 1. Listening Platform Overview 2009/06/19 - 2. Listening Platform 사용자들 2009/06/26 - 3. Listening Platform 주요 업체들 - Nielsen Online TNS Cymfony 제공되는 내역은 다음과 같다. (번역해서 올리려다가 짧은 영어실력이 들통날까 원문 그대로 올린다) Listening – more signal, less noise Broadest content, sourced globally, near realtime and structured to reveal meaning . Influence – quality out of quantity Multi-factor influence ev.. 2009. 7.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