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nology188

블로그 뉴스 이미지 UCC 중심의 트랜드 검색, DABOT 스마트플레이스 Demo Day IT난상토론회라는 언컨퍼런스를 호스팅했던 스마트플레이스가 새로운 버전의 모임을 최근에 호스팅했는데, 이름하여 Demo Day인데요. 우리나라에서 새롭게 인터넷 서비스를 준비하는 창업자 및 예비창업자 분들을 모시고, 서비스에 대한 여러 이야기들을 들어보는 시간이였는데 최근에 태어난 아들넘때문에 가지는 못하고 후기를 보다가 재미있는 서비스를 보았다. DABOT(dabot.net) 이미지와 UCC와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찾아주는 서비스인데, 생각보다 꽤나 쓸만하다. 예를 들어서 조선일보에 대한 MBC 뉴스후의 내용을 담고 있는 동영상을 내가 찾고자 한다면, 보통은 검색엔진에서 '뉴스후'와 '조선일보'를 질의어로 입력하여 정보를 찾게 된다. 검색엔진으로는 원하는 정보 - 특별히 .. 2008. 7. 16.
MS 파워셋 인수 MS가 파워셋을 인수한다고? 관련기사 : "MS, 자연어 검색 '파워셋' 인수 추진" 한참 야후에 추파를 던지던 MS가 파워셋을 인수한다는 보도가 나왔다. MS가 몇년전부터 인터넷 사업전략을 수정하면서 북유럽 출신의 검색엔진 전문업체였던 'FAST'를 인수하는 등 검색기술 확보에 사운을 걸었다 싶을 만큼 인수합병에 적극 나서고 있다. 검색엔진 기술이라는 것은 일정수준까지는 진입장벽이 거의 없다 싶을 만큼 기술자체가 어렵다기 보다는 축적된 연구개발 성과에서 새롭고 개선된 엔진을 만들 수 있는 성격의 기술이다. 어느날 갑자기 검색엔진의 강자가 되고 싶다면, MS로서는 남아도는 현금을 쏟아부어서 전문기업을 사들이는 것이 어쩌면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왜 파워셋인가? 잘 알려진대로 파워셋은 자연어검색을 표방하는.. 2008. 6. 27.
Searchme Visual Search Searchme Visual Search (http://beta.searchme.com) Searchme는 재미있는 검색엔진이다. 아니 생각보다 매우 유용한 검색엔진이다. 검색창에 질의어를 입력하면, 한자 한자 입력될 때 마다 질의어 입력창 아래에 관련된 분야가 다이내믹하게 보여주어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원하는 분야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검색결과가 ipod touch의 UI와 유사하다. 마우스로 아래의 슬라이드를 움직이거나 키보드의 방향키를 조작하면 내용이 변경된다. 정확하게 기억이 나지 않는데, 국내에서도 예전에 비슷한 서비스가 있었는데, 검색에서 절대 빠질 수 없는 프로세스가 질의어 입력 후 'click & browsing'이다. 사용자가 검색결과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서 무한 반.. 2008. 6. 26.
국내 책 가격비교사이트들 국내에도 전문적인 검색엔진들이 생겨나고 있다. 네이버가 책에 대한 검색을 하지만 책 가격을 비교검색하는 것은 (아직) 아니기 때문에 네이버가 (아직) 신경쓰지 않는 분야라서 전문적인 업체들이 의욕을 가지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 같다. 책 가격 비교사이트는 쉽고 빠르게 책 가격을 비교할 수 있으면 되기때문에 관건은 도서정보DB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가 될 것이다. 북프라이스 (http://www.bookprice.co.kr) 책 가격비교 대상 사이트는 지마켓, 알라딘, YES24, GSBooks, 영풍문고, 인터파크, 리브로, 교보, 모닝365 등 9개 온라인 서점을 대상으로 검색결과를 제공한다. 책 가격비교는 당연히 '책'을 찾고, '책의 가격'을 비교하는 것이 순서이다. 책 가격비교 검색답게 IS.. 2008. 6. 4.
국내 Collective Intelligence 검색 동향? Social Search가 돈이 된다. 네이버가 절대 무너지지 않을 것 같은 1위의 성을 쌓게 해준 주춧돌이 지식in 서비스라고 생각한다. 불특정 다수의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질문을 하면 그들이 답변해준다는 컨셉은 지식in 이전에도 있었지만, 절묘한 마케팅과 트래픽의 힘이 작용하면서 폭발적인 결과를 얻어내었다. 지식in같은 서비스를 일명 social search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지식in의 성공(?) 이후로 국내외에서 이런 형태의 서비스로 비즈니스가 가능하다는 것이 증명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시도가 생겨났다. Types of Collective Intelligence 최근에는 단순한 Q&A 형태의 social search와 비슷하지만, 사용자들간의 Interaction에 초점을 맞춘 집단지성(collec.. 2008. 5. 28.
Spock - People Search Spock(http://www.spock.com/) 스포크라고 하면 나는 스타트랙에 나왔던 사람이 생각난다. 공간이동장치며, 우주선 엔터프라이즈호.. 그리소 이분이 생각난다. ^^ 발칸별이라는 행성의 스포크 박사...ㅎㅎ spock 서비스는 'single point of contact and knowledge’의 약자이다. 한마디로 '인물검색'서비스 이다. 사용해보니.. Spock 서비스는 유명인만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가 아니라, 웹에 있는 정보를 사람을 기준으로 정리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해주는 서비스이다. 특정 지역을 검색어로 입력하면 관련된 인물 정보가 나오게 되는데 'seoul'을 검색어로 입력했을 때, FC Seoul의 선수들이 처음에 많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난데 없이 노태우의 .. 2008. 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