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의 미래6

지식검색이 다시 관심을 받는 이유 2012년 5월초 기준으로 국내 휴대전화 가입자수는 5,255만명이고 이중 스마트폰 사용자수는 전체 휴대폰 가입자의 50.84%인 2,672만명이라고 합니다. (출처 : SBS CNBC 보도기사 중) 우리나라 전체 인구수는 2012년 2월말 현재 5,076만명정도 됩니다. 이중 19살 미만과 60세 이상을 제외한다면 3000만명정도 추산됩니다. (전체유권자수 3800만명 - 60세이상 유권자수 800만명) 즉, 대부분의 성인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단지 피쳐폰이 거의 공급되지 않고 대부분 스마트폰이 시장에 공급되기 때문이라고 하기에는 확산속도나 사용자수의 증가폭이 큽니다. 일반 PC는 사용이 복잡하지만 전화기에 기능이 추가된 형태로 보여지는 스마트폰은 대부분의 사용자들에게 직관적.. 2012. 6. 9.
검색의 Collective Filtering + SN = 구글 서치위키 사용자 참여형 검색서비스 지난번 검색서비스의 미래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검색에서의 사용자 참여형 서비스가 구글의 서치위키이다. 우리나라도 사용자 참여라는 측면에서 꽤 성공한 서비스가 있다. 검색서비스라고 우기는 네이넘의 지식in인데, 사용자참여형 서비스는 맞지만, 검색서비스가 아니라 검색을 위한 컨텐츠 구축 시스템일 뿐이다. 2009/01/16 - [정보검색] - 2009년 검색서비스의 미래 구글(영문)에서 VOC라고 검색을 하면 다음과 같이 검색결과가 보여진다. 구글코리아의 검색결과와 달리 SearchWiki라는 것이 보인다. 구글의 SearchWiki 서비스는 크게 3가지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검색결과 랭킹 조정 검색결과 코멘트 추가 검색결과 리스트에 추가/삭제 구글 SearchWiki 1. 검색결과.. 2009. 1. 22.
2009년 검색서비스의 미래 검색은 더 이상 정보를 찾는 도구가 아니다. 검색의 미래에 대해서 이야기 하기에 앞서서 컨텐츠(정보+서비스)에 대해서 먼저 정리를 해보아야 할 것 같다. 단순히 검색이라는 것은 정보를 찾는 수단이 아니라 이제는 정보를 유통하고 소비하는 방식이 된 것 같다. 한국형 통합검색이라는 괴물을 통해서 업계의 압도적인 1위가 되어버린 네이버는 항상 신뢰할 수 있는 컨텐츠의 확보에 회사의 사활을 걸었다. 그냥 검색포털이였다면 검색기술 자체에만 집중해도 되지만, 통합검색이라는 이름을 걸고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와 컨텐츠의 유통/소비를 통해서 트래픽을 독점하여(나쁘다고 할 수 없다. 누구나 트래픽을 독점하고 싶을 테니까) 지금의 1등이 된 네이버에게 컨텐츠의 확보는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네이버의 방식 정.. 2009. 1. 16.
검색과 광우병 탄핵서명 100만? 드디어 MB2(영어식 표현)의 탄핵이 100만을 넘었다. 괴담 때문이라고 정부와 여당에서는 애써 그 의미를 깎아 내리려고 하지만, 집권 후 보여주던 강부자 내각 – 대운하 재개 – 강부자 수석으로 이어지는 MB2의 실정으로 인한 여론의 모습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 같다. 회사는 연휴였지만 일 때문에 나갈 수 밖에 없어서 연휴 아닌 연휴가 되었지만, 개인적으로 광우병 사태와 함께 탄핵서명의 추이가 매우 흥미로웠다. 광우병 사태에 임하는 다음과 네이버의 행태 100만명이 넘는 서명이면 당연히 아고라 메인에 올라와야 하는 내용을 다음은 메인에 보여주지도 않았고 한동안은 검색결과에도 보이지 않았다.(지금은 사이트 항목에서 ‘탄핵서명’이라는 질의어로 검색하면 나온다) 네이버는 어떤가? 한동안은.. 2008. 5. 6.
Page Relevancy에서 People Relevancy로 Page Relevancy 검색엔진에서 질의어는 사용자가 검색엔진을 사용하기 위한 명시적인 행동이다. 명시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질의어를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무엇인지? 사용자의 검색의도는 어떠한지를 나타내주는 것이 '질의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질의어'만으로는 사용자의 검색요구나 검색의도 등을 알 수가 없다. 대부분의 '질의어'들이 한, 두단어로 이루어져있는데다가 중의성을 포함하고 있기때문이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검색대상 문서내에 사용자의 질의어의 분포 등을 수학적 모델을 통해서 계산하여 사용자의 질의어에 가장 적합한(relevant)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Page Relevant가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모델이다. Hakia의 People Relevanc.. 2007. 11. 7.
검색의 미래 Search 2.0 - 사람들이 생각하는 Search 2.0 Feeding하고 있는 블로그에 재미있는 설문조사가 올라왔다. search 2.0에 대한 간단한 설문조사인데 흥미롭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search 2.0의 목표는 User intention understanding + Semantic retrieval 이다. 사용자의 검색의 목적이나 의도를 알아서 원하는 결과를 의미기준으로 제공해 주어야 할 것 같다. 설문조사 결과는 순서대로 다음과 같다. 1. Artificial Intelligence (e.g. Hakia, Powerset) 23% (123 votes) 사실 Hakia나 Powerset 모두 자연어검색엔진이라고 자신들을 소개한다. 그런데, 이 검색엔진들을 AI로 분류한 이유는 검색 질의어의 의도를 자연어 기반으로 처리하여 알아내고(아마도 추론 과.. 2007.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