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nology

2009년 검색서비스의 미래

by 마루날 2009. 1. 16.
반응형
검색은 더 이상 정보를 찾는 도구가 아니다.

검색의 미래에 대해서 이야기 하기에 앞서서 컨텐츠(정보+서비스)에 대해서 먼저 정리를 해보아야 할 것 같다.

단순히 검색이라는 것은 정보를 찾는 수단이 아니라 이제는 정보를 유통하고 소비하는 방식이 된 것 같다.

한국형 통합검색이라는 괴물을 통해서 업계의 압도적인 1위가 되어버린 네이버는 항상 신뢰할 수 있는 컨텐츠의 확보에 회사의 사활을 걸었다.

그냥 검색포털이였다면 검색기술 자체에만 집중해도 되지만[각주:1], 통합검색이라는 이름을 걸고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와 컨텐츠의 유통/소비를 통해서 트래픽을 독점하여(나쁘다고 할 수 없다. 누구나 트래픽을 독점하고 싶을 테니까) 지금의 1등이 된 네이버에게 컨텐츠의 확보는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네이버의 방식

정보가 어디에 있다는 것은 관심 없고 사용자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컨텐츠를 쌓아야만 하는 것이 네이버의 운명이기 때문에 항상 컨텐츠의 생산 및 유통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러다 보니 네이버 블로그의 펌질에 대해서 네이버가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은 네이버는 800만개에 달하는 네이버 블로그들의 펌질을 통하여(모든 네이버 블로그가 펌질을 한다고 할 수 없지만, 그 비율이 매우 높은 것을 사실이다.) 지식인에 이어 새로운 컨텐츠 생산, 유통단지의 역할을 하게 하려고 하는 것 같다

그리고 최근의 오픈캐스트 또한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캐스터가 되어 어쩌면 또 다른 방식의 컨텐츠 소비 및 유통방식이 되어주기를 바라는지도 모르겠다.

더 이상 검색이 정보가 어디에 있는지를 알려주는 서비스가 아니라 검색이 정보의 소비와 유통의 도구인 지금과 같은 검색만능시대에는 얼추 네이버의 시도가 소 뒷걸음질에 쥐 잡는 것 같은 형국이지만, 적절한 전략인 것 같기도 하다.


검색서비스의 미래

그렇다면 앞으로 더 나은 검색을 위해서는 정보를 잘 찾는 것이 아니라 정보의 유통과 소비를 위해서 네이버 펌로거와 오픈캐스트 발행인과 같은 개미떼가 필요한 것일까?

컨텐츠를 유통하고 소비한다는 입장에서 앞으로의 검색엔진의 변화될 모습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자

정보의 위치가 아닌 정보자체를 알려주는 검색

검색결과는 아웃링크(지극히 한국적인 표현 아닌가? -_-)의 모임일 뿐이어서 원하는 컨텐츠를 찾기 위해서 사용자들은 클릭 & 브라우징을 여러 번 해야 한다.
지식in과 같은 Q&A류의 검색인 인기를 끄는 것은 컨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들은 단지 정보가 필요한 것이 정보가 있는 곳을 가리키는 정보는(검색결과) 그다지 관심이 없다.

아마도 앞으로는 검색결과 페이지에서 해당 페이지를 직접 열어보지 않고도 해당 페이지의 주제와 요약 내용(지금처럼 단순히 질의어가 위치한 단락이 아닌)이 보여지는 형태로 발전할 것이다.

개인화와 Social Networking

그리고 개인화 부분이 가장 강력하게 작용할 수 있는 영역이 검색엔진을 통한 컨텐츠 소비가 아닐까 생각이 된다. 검색결과에서 사용자와 연관된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될 것이다.

현실적으로 보았을 때 검색엔진과 Social Networking의 결합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기검색어류의 서비스가 검색엔진에서 던지는 미끼역할이 주이지만, 이 서비스는 사용자들의 관심사를 반영한다는 것에서 시작해서 질의어를 기준으로 자신과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클릭하여 열어본 검색결과를 일종의 Collective Filtering 형태로 조합을 할 수 있게 된다.

참고기사 : 구글, 개인 맞춤형 검색 서비스 준비중

느슨한 형태의 SN이 질의어와 검색결과를 통해서 만들어지지만, 여기에 검색결과에 대한 사용자들의 판단과 선호가 결합이 되면 말 그대로 정보를 재구성할 수 있게 되는 단계까지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유비쿼터스 & 모바일 검색

언제, 어디서나, 어떤 디바이스에 관계없이 정보를 소비하자면, 시공간 및 디바이스에 종속되지 않는 형태의 검색서비스는 필수적이다.

일요일 저녁마다 챙겨보는 패밀리가 떳다를 보면 최근에 재미있는 모습이 보이는데, 요리법을 찾기 위해서 모바일 검색을 한다. TV쇼에서조차 모바일 검색이 낯선 풍경이 아닌 시대가 된 것이다.

지난번에 이찬희가 사용하는 검색을 보니 구글 검색이었는데, 시공간 및 디바이스에 종속되지 않은 형태의 검색은 광고와 같은 가비지 없는 정제된 형태의 정확한 검색결과가 필요하고 지금으로서는 구글이 그나마 그 니즈에 가장 가깝지 않나 생각된다.

무엇보다 검색의 입출력 방식에 대한 새로운 시도들이 계속될 것 같은데, 예를 들면 음성 인식에 의한 질의어 입력이나 사진이나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도 큰 어려움 없이 검색결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메타검색과 전문검색

작년 한 해를 돌아보면 블로그, 동영상이나 이미지, 문서, 상품 등과 컨텐츠 별 검색이 가능하도록 포털의 검색결과를 조합해서 보여주는 메타검색이나 특정 컨텐츠에 특화된 검색서비스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제까지 한자리에 모든 정보를 보여주어서 편리했다면 이제는 사용자들이 선별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정보만을 찾기 원하는 검색서비스를 원하는 시대로 접어든 것 같다.

단순 텍스트문서에 이미지를 거쳐 동영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쌓여가는 인터넷 공간에서 검색의 존재는 이제 단순한 찾는 도구가 아닌 컨텐츠의 유통과 소비에 채널이 되어버렸다.

그에 비해서 국내의 검색서비스들은 갈길 이 멀어 보이기만 하다. 어쩌면 2009년도는 구글코리아의 약진이 두드러지는 한 해가 될지도 모르겠다.




 마루날의 雜學辭典(잡학사전)을 RSS리더로 편하게 구독해서 보세요~

  1. 물론 네이버가 검색기술 연구개발을 소홀히 한다고 볼 수 없다. 지금까지 확보한 인력 풀만 해도 그 인력으로 지금 수준밖에 못하는 것이 더 놀라울 뿐이다 [본문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