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nology188

Social Media Monitoring Tools Evaluation 2010년이 되니 갑자기 이 자료가 오래전 자료가 된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올해는 소셜미디어 진단 및 평가쪽으로 좀 더 깊이 파보려고 목표를 세웠는데요. 그래서 2008년 10월 자료이지만 올려봅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소셜미디어 활용이 매우 활발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큰 틀에서의 변화는 이미 시작이 된 상황이여서 기업들도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소셜미디어 활용을 위해서 자신들의 활동에 대한 진단이나 평가에 대해서 관심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기본적으로 소셜미디어를 통한 기업의 평판이나 관심 그리고 기업의 목표 고객들의 관심사가 무엇인지 제일 궁금해하기는 합니다만, 결국은 잘 하고 있는지, 잘 했는지가 그 다음 스텝이여서 서서히 기업들의 관심과 도입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시장에서 공인된 .. 2010. 1. 5.
원더걸스 기사에서 배우는 구글 트랜드 제목을 달다보니 공교롭게도 이번에도 ~~배우는 이 들어가네요 ^^ '원더걸스 ‘유캔댄스’출연, 구글 검색 순위 1위 기염'이라는 기사를 보다가 구글 검색 순위 1위를 차지했다고 해서 찾아보았습니다. 구글에서는 우리나라 포털의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인기검색어와 유사한 서비스를 구글 트랜드라고 해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전세계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에 미국에 한정해서 Hot Searches를 찾아보았습니다. 12월 9일로 이동하니 그날 3위에 올라왔네요. 우리나라에서도 인기검색어 10위 안에만 들어가도 트래픽 폭탄이 터진다고 표현하는데요. 대단한 결과라고 보여집니다. 지난번 무릅팍도사에서 보니 우리나라에서 큰 성공의 정점에서 과함하게 미국행을 결정하고 도전하는 모습이 아름다워보였는데요. 그때 박진영씨의 이야기.. 2009. 12. 11.
실시간 검색은 대화 검색의 특성 중 하나이다. 다이나믹 색인 검색엔진 기술 중에서 지금은 보편화된(?) 기술 중 하나가 다이내믹 색인입니다. 동적 색인이라고도 하는데요.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색인이라고 하는 것은 검색 대상이 되는 정보를 가져와서 색인어(주로 명사)별로 출현빈도 등의 기준에 따라서 해당 색인어를 가지고 있는 문서의 정보를 나열해서 미리 정의해 놓은 데이터구조로 쌓는 것을 색인이라고 합니다. 색인을 만들어 놓아야 사용자들이 검색엔진에 검색을 하면 입력된 검색 질의어에 해당하는 색인의 정보를 가져와서 검색결과로 화면에 뿌려지게 됩니다. bookshelf spectrum, revisited by chotda 그래서 보통 색인은 정적(static)으로 이루어지는데, 검색대상 정보를 모아서 한번에 색인을 하게 됩니다. 검색.. 2009. 11. 24.
구글과 빙은 왜 트위터에 들이대나 구글과 빙은 왜 트위터에 들이대나 한글 트위터 검색엔진인 트윗트랜드(http://tweetrend.kr)에 의하면, 한글로 트위터를 사용하는 유저의 숫자가 약 10만 여명에 이른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전체 인터넷 인구에 비하면 전체 사용자 숫자는 그렇게 많지는 않습니다만 큰 폭으로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Comparing Linux Search results in Google and Bing by Andrew Mason 대표적인 마이크로 블로그서비스인 트위터에 왜 구글과 빙과 같은 검색엔진들이 열을 올리는지 좀 살펴 보겠습니다. 경험에서 검증된 컨텐츠 검색이라는 것은 정보를 찾는 행위입니다. 검색엔진의 성능은 한마디로 옥석을 잘 가릴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2009. 11. 10.
소셜웹의 홍수 : 네트워킹 과잉 시대 저는 소셜웹의 홍수 속에 떠내려 가고 있습니다. 현재 블로그는 개인 블로그 및 팀블로그를 합쳐서 5개를 운영중이고, SNS는 미투데이와 트위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블로그와 SNS를 연동하고 싶어서 friendfeed를 사용하고 있고, 덤으로 페이스북까지 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정보의 과잉이 아니라 네트워킹의 과잉인 시대가 된 것 같습니다. 2009. 11. 5.
yammer 사용 해 보니... 좋다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며칠 전 같은 부서 직원이 yammer를 통해서 들려준 이야기 인데요. 영국의 옥스퍼드 연구소가 많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는 이유가 2가지 있다고 합니다. 하나는 서로 이름을 부른다는 점이고 또 다른 하나는 수평적인 의견교환이 가능한 문화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회사에서 이루어지는 비즈니스는 한 사람이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조직을 이루어서 수행하게 됩니다. 이때 서로 정보를 교환하거나 의견을 나누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주간회의나 월간회의 등과 같은 정규적인 미팅이나 이슈가 있을 때마다 회의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회의가 충분히 많이 진행이 됨에도 불구하고 늘 느끼는 것은 정보가 공유되어도 서로 충분히 공감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느낌이 들고 더구나 개개인의 캐릭터나 일.. 2009. 10.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