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188 트위터를 사용하면서 느끼는 것들 트위터는 140글자라는 입력제한 때문에 마이크로 블로그라고 하기도 하고 Following/Followers라는 사용자와 사용자의 관계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서비스이다 보니 Social Network Service라고 합니다. Yahoo Censorship Still Sucks, Part Four by Thomas Hawk 왜 트위터가 인기이고 기업이나 개인이 트위터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많이들 들으셨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트위터를 몇 달째 사용하면서 드는 몇 가지 느낌을 나누어 보고 싶습니다. 1. 끼리 끼리 트위터에서 내가 다른 트위터 사용자를 Following하는 것은 상대방의 동의와 같은 별도의 절차 없이 전적으로 내 의지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을 착각해서 내가 Following하면 .. 2009. 10. 19. 인기검색어의 유혹 정보 수용의 한계 검색엔진에서 가장 유용한 통계 중 하나는 질의어 로그입니다. 말 그대로 검색어 입력 창에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질의어들이 시간순서 별로 로그에 남게 되는데, 이 데이터를 분석해서 검색엔진 운영차원에서 어떤 컨텐츠를 보완해야 할지, 검색결과의 품질은 어떠한지 등을 검토합니다. roads and railways series #4 by woodleywonderworks 인터넷 공간에 생산되어 유통되는 컨텐츠의 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서 한 사람이 가지고 있는 인지능력 및 시간의 제약으로 소화해 낼 수 있는 정보의 량이 한계가 있기 때문에 검색엔진을 통해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나 컨텐츠를 찾아서 소비하게 되고, 사용자들이 검색엔진에서 사용한 질의어가 로그로 남게 되면서 새로운 상황이 전개됩니다. .. 2009. 10. 6. 트위터 아이폰 공동구매 그저께(9/22) 동아일보 김상훈 기자의 도전적인 기사를 보면서 몇 가지 현상을 가지고 유추한 결과가 이렇게 다를 수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김상훈 기자의 That's IT]괴물이 되어가는 ‘웹2.0’… 아직도 믿으시나요 웹 2.0은 참여, 공유, 개방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웹 2.0을 기술용어나 마케팅 용어도 아니고 '사람들이 정보를 소비하고 유통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합니다. 일일이 반박하는 것은 입이 아플 뿐이고, 다만 오늘 갑자기 트위터에서 일어나고 있는 트위터 아이폰 공동구매 건을 이야기 해 보고 싶습니다. 트위터 아이폰 공동구매 신청 어쩌면 일부 어얼리 어답터들의 행동이뿐이라고 축소해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역사는 행동하는 소수에 의해서 변화되었고 발전되었기에 어얼리 어답터.. 2009. 9. 24. 검색의 미래는 정보를 꿰는 역량에 달려있다. FirstRain FirstRain 아세요? 자주 가는 블로그에 올라온 포스트를 통해서 알게 된 업체 입니다. 관련 포스트 : FirstRain announces research engine for business professionals 요즘처럼 한 사람이 인지하고 처리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선 정보의 홍수시대에는 검색엔진이 정보를 잘 찾아주는것은 기본이고 정보를 잘 정리해주어야 합니다. 말 그대로 구슬이 서말이어도 꿰어야 보석인 것처럼 넘쳐나는 정보를 잘 정리해서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이 매우 중요합니다. FirstRain은 자신들의 솔루션을 검색엔진이라고 부르지 않고 Research Engine이라고 부릅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FirstRain의 Research Engine은 정보를 찾아서 분류한뒤 비즈니스와 매니지.. 2009. 9. 23. 미공군의 소셜미디어 대응전략....왠만한 기업보다 낫다 요즘 맡고 있는 비즈니스때문에 정신이 없어서 블로그는 거의 개점휴업 상태였습니다. 서베이를 하다가 재미있는 자료를 보게 되어서 공유합니다만, 이미 잘 아시는 분도 계실터이니 확실히 뒷북일 것 같습니다. ^^ [원문보기 : The US Air Force: Armed with social media] 위에서 링크한 글에도 나오지만, 이 차트를 보면서 느끼는 점은 미국 공군이 대단하다는 점입니다. 저에게 늘 가르침을 주시고 위기관리 및 대응을 전문으로 하시는 강함수 대표님 말씀에 의하면, 실제로 모든 위기 관리 대응 체계나 메뉴얼은 미국의 군대에서 비롯된 것이 많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이 차트를 보면서 느끼는 점은 두 가지입니다. 1. 인터넷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은 "전략수립 → 점검/모니터링 → 대응"이라는.. 2009. 9. 17. 인터넷 이슈는 덮는다고 덮이지 않는다. 불가근불가원 [不可近不可遠] 인터넷 인터넷처럼 기업 입장에서 곤혹스러운 매체도 없을 것이다. 아니 인터넷이 미디어 역할을 하는 것 자체가 죽도록 싫을 것이다. 왜냐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도무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기존의 미디어는 간단하고 쉬웠다. 광고를 가지고 매체와 적절한 타협이 가능했고 기자들을 잘 관리하면 되었다. 모든 기자를 상대할 필요도 없고 주요 일간지와 업계지 에서 우리 회사와 산업관련 기자만(다 합쳐도 몇 명이 되지도 않는) 잘 상대하면 되었다. 지금 인터넷은 소셜미디어로 떠오르는 블로그와 마이크로 블로그(e.g. 트위터) 그리고 카페와 포럼(e.g. 다음 아고라)만 해도 한두 군데가 아니다. 기존 미디어와 달리 언제 어디서 어떤 내용의 컨텐츠가 올라올지 전혀 알 수가 없다. by bo.. 2009. 8. 24.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