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nology

검색과 광우병

by 마루날 2008. 5. 6.
반응형
탄핵서명 100만?

드디어 MB2(영어식 표현)의 탄핵이 100만을 넘었다.

괴담 때문이라고 정부와 여당에서는 애써 그 의미를 깎아 내리려고 하지만, 집권 후 보여주던 강부자 내각 – 대운하 재개 – 강부자 수석으로 이어지는 MB2의 실정으로 인한 여론의 모습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회사는 연휴였지만 일 때문에 나갈 수 밖에 없어서 연휴 아닌 연휴가 되었지만, 개인적으로 광우병 사태와 함께 탄핵서명의 추이가 매우 흥미로웠다.


광우병 사태에 임하는 다음과 네이버의 행태


100만명이 넘는 서명이면 당연히 아고라 메인에 올라와야 하는 내용을 다음은 메인에 보여주지도 않았고 한동안은 검색결과에도 보이지 않았다.(지금은 사이트 항목에서 ‘탄핵서명’이라는 질의어로 검색하면 나온다)

네이버는 어떤가? 한동안은 탄핵서명이나 이명박 탄핵이라고 검색해도 검색서명 URL을 알 수 없었다. 뭐 경쟁사의 서비스 URL을 알려주는 것이 거시기 했을 수도 있지만, 평소에 이슈에 대처하는 네이버의 신속한 대응에 비해 이번 사태에서는 어제(5/5)부터 보이기 시작했다.

여론의 추이를 보다가 이제 보여줘도 큰 탈 없다고 판단해서 보여준 것은 아닌가 하는 의혹이 생기기 좋은 모습이다.


검색은 단순한 온라인 서비스?

최초의 검색서비스는 사용자들에게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 도구였다. 웹 검색의 최초라고 할 수 있었던 야후도 기존의 전화번호부 같은 형식의 옐로우 페이지를 웹을 옮긴 형태로 제공하였었다.

사용자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웹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서 좀 더 편리하고 정확한 검색엔진을 선호하게 되었고, 인터넷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서 검색엔진 사용자와 트래픽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검색엔진 결과에서 나오는가 또는 얼마나 상위에 나오느냐에 따라서 웹 서비스의 승패가 좌우할 정도로 영향력이 생기게 되었다.

검색엔진이 정보를 찾는 도구에서 벗어나서 정보를 보여줄지 말지를 결정하는 통제의 위치에 서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미디어 아닌 미디어로서의 영향력을 발휘하기 시작하였다.

검색엔진의 수집이나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알고리즘이 기계적으로 적용된다면 최소한의 공정성이 유지될 수 있는데, 신속한 대응이나 불건전한 정보의 필터링을 위해 사람의 손을 이용하기 시작하면서 의도했는지 의도하지 않았는지 모르지만, 정보를 통제하기 시작했다.

만약에 다음 아고라의 탄핵서명이 여러가지 요인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한 결과이기 전에 검색결과에서 배제되고 있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사실 요 며칠의 정황을 살펴보면 의도적으로 검색이 되지 않는 것 같은 의혹이 생긴다.


검색이 왜 이슈인가?

체육관 선거를 통해서 대통령이 되었던 전두환과 5공 정부가 정부초기에 가장 먼저 시작했던 일들 중에서 하나가 언론통폐합이다. 그 당시만 해도 인터넷이라는 열린 공간(진짜 열려있는지 모르겠다)이 없었기에 신문, TV, 라디오만 통제해도 여론의 형성이나 문제 제기를 사전에 잘라낼 수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금과 같은 인터넷 시대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검색을 통제하면 된다.

대선 기간 내내 네이버의 정치적 편향성은 이미 여러 블로그를 통해서 증명되었다. 간단히 네이버 정치나 네이버 한나라당이라고 검색해보면 여러 가지 내용들을 볼 수 있다.
[관련기사 : "정권 잡으면, 포털 너희 다 죽는다" 파문[고뉴스]]

다음은 어떠한가? 담당 실무자의 판단이라고 우길 수도 있고, 다음의 조직 특성 상 위에서 찍어 내리지 못한다고 이야기 할 수도 있겠지만, 이번 연휴기간 내내 검색을 해보면서 느낀 것은 다음도 네이버 못지 않다는 것이다.

국어사전에서 ‘미디어’를 찾아보면 ‘어떤 작용을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되어 있다.

정보의 전달자라고 해석할 수 있는데, 단순한 Fact의 전달과 함께 분석을 해서 Agenda를 세팅 하는 기능까지 하기 때문에 미디어의 힘이 강력하다고 할 수 있다.


검색의 미래를 좌우하는 것은 공정성이다.

21세기의 미디어로 자리 잡은 검색서비스를 단순히 인터넷을 통해서 제공되는 서비스로만 생각하는지 모르겠지만, 정보의 통제가 가능해진 지금의 검색서비스는 과거 언론의 공정성을 지키기 위해 권력에 저항했던 그 저항정신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공정성이라는 것이 별 것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결국 사용자 대중으로부터 나온 트래픽에서 비롯된 지금의 검색서비스의 위치와 파워를 순식간에 걷어갈 수 있는 것이 정확한 검색도 편리한 검색도 아닌 ‘공정한’ 검색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도 검색을 통해서 인터넷 비즈니스 업계의 공룡이 되어 인터넷 비즈니스 생태계 자체를 말려 죽이고 있는데, 이번 광우병 사태에서 비롯된 ‘공정성’ 시비가 공룡을 멸종시키는 단초가 되지는 않을까 기대해 본다.

생태계라는 것이 최상위 포식자가 사라진다고 생태계 자체가 없어지지는 않으니까, 네이버와 다음이 망하고 네이트와 엠파스까지 거덜나면, 파란이나 구글을 통해서 사용자들은 충분하다.

제발 검색서비스의 공정성을 지켜라



 마루날의 雜學辭典을 구독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