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nology

검색되지 않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by 마루날 2008. 7. 23.
반응형
정보의 Long Tail

예전에는 사람들이 원하는 정보는 상위 20%에 몰려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검색엔진을 운영하면서 사용자들의 질의어를 보면 확실히 아래의 그래프(?)와 비슷한 Long Tail 형태로 정보가 소비된다.

정보의 생산이라는 측면에서 보자면 전문적인 업자들이 대부분의 정보를 만들어내겠지만, 아주 얇게 좌악 퍼져나가는 생산량은 얼마되지 않은 수 많은 정보생산자들이 존재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 flickr.com]


정보의 생산과 소비라는 측면에서 검색엔진은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정보의 생산자들에게는 미지의 소비자들에게 검색엔진 검색결과를 통해서 알려진다는 의미가 있고, 정보의 소비자들에게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검색결과에서 찾게 된다.

하지만, 실상은 Long Tail이 존재하지 않는다.


친절한 검색엔진씨

국내 검색 트래픽의 대부분의 차지하고 있는 네이버와 다음의 검색결과이다. 정보의 Long Tail이라는 측면에서는 포탈 자체의 컨텐츠 보다는 블로그와 웹 문서처럼 포탈 외부(?)의 검색결과를 확인해 보았다.

1) 네이버의 블로그와 웹 검색결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놀랍게도, 1000개의 검색결과만 보여준다. 사실 1000개 정도를 넘어서면 단순히 검색 질의어와 매칭하는 단어가 존재할 뿐 정보로서는 무의미하다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정보의 유용성을 누가 판단하느냐가 문제가 된다.

친절한 네이버씨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1000개의 검색결과만 보여주는 것은 웹의 형평성에 너무나 어긋나는 행동이다. 실제로 검색결과 12만개를 다 흝어보지는 않겠지만, 12만개 중 상위 1000개에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정보가 다 있다고 확신할 수 있나?

어차피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 요구를 '질의어'로 표현하지만, 제대로 표현하지 못할 것이고 무엇보다 해당 검색시스템에 적합한 형태의 질의어가 어떤 형태인지 모르기때문에 더더욱 질의어에 대한 검색결과를 보여주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


2) 다음의 검색결과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음의 블로그 검색결과를 보면서.. 당연히 검색은 이렇게 공정해야지 하다가 웹 문서 검색결과를 보면서 완전 당황했다. 이거 뭡니까?

아무리 불친절하고 거칠기로 유명한 다음이라지만, 네이버에 비해서 왜 이렇게 매끄럽지 못할까?  보여주려면 다 보여주든지, 아니면 친절한 네이버씨처럼 적절하게 클로징을 해야 하는데.. 이거 뭐하는 시츄에이션?

다음은 한국축구의 현실을 보여주는 듯 하다. 골문 앞에서 마무리 부족... OTL


아무튼...

트래픽이 돈이 되면서 포털사이트가 관문이 아니라 섬으로 변하게 되고, 한명의 사용자도 섬 밖으로 못나가게 하는 포털의 전략에서는 당연히 검색결과를 제한하는 것이 맞다고 보겠지만,

무엇보다 검색해서 나오지 않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단언할 수 있는 시대에 이렇게 무 자르듯 검색결과를 잘라내는 것은 친절한 행동이 아니라, 교묘하게 정보를 통제하는 행동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

정보의 유용성 판단과 볼지 말지에 대한 판단은 사용자들 한 사람 한 사람의 몫이고 책임이다.

검색결과에 대해서 손대는 행동은 어떤 이유에서도 용납되어서는 안된다.






 마루날의 雜學辭典을 구독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