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계 최초 네이버 통합검색 스토리
NHN의 기업 블로그인 NHN 스토리에 '세계 최초 네이버 통합검색 스토리'라는 재미있는 이야기가 올라왔다. 구글의 Universal Search 이후에 네이버에서 검색에서 자신들이 걸어온 길을 담담하게 이야기 하고 있다.
2000년에 통합검색이 왜 시작되었는지, 그리고, 신선했던 QA검색 서비스에 대한 이야기도 하면서, 세계화된 통합검색의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
통합검색의 세계화
2000년의 상황이나 지금의 상황 모두, 사용자들의 검색에 대한 요구에 비해 검색 대상이 되는 데이터가 한때, 네이버의 검색에서의 주요한 정책 중 하나가 '신뢰할 수 있는 컨텐츠의 확보'였을 정도로 부족해서 검색해서 보여줄 것이 없는 상황은 그리 바뀌지 않은 것 같다.
초창기의 통합검색은 웹검색과 디렉토리검색으로 구분되어 제공되는 검색결과를 검색대상 데이터의 형태나 종류에 따라 그룹핑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제공되었고, 그 결과는 검색서비스 운영의 묘를 살린 기획의 네이버 다운 '검색기획의 승리'라고 할 수 있다.(지식in의 성과를 바탕으로) 1
구글에서 'Universal Search'라는 것을 들고 나오게되면서, 한국형 검색의 전형이라고 말할 수 있었던 '통합검색'의 세계화가 이루어지는 것 같아 감개무량한가?
[출처 : http://googleblog.blogspot.com/2007/05/universal-search-best-answer-is-still.html ]
개인적으로 오늘 올라온 네이버의 글을 읽어보면서, 본격적으로 네이버와 구글이 국내시장을 두고 경쟁을 시작하겠구나 하는 생각과 함께, '사람'과 '기계'의 대결이 될 것 같은 생각이 든다.
통합검색은 발전된 모델인가?
현재 네이버 통합검색을 보면, 지금은 기본적인 통합검색의 원칙인 '검색대상 데이터'에 의해 탭이 가변적이고, 위치가 가변적인 것은 그대로이고, 여기에 네이버 검색의 장점인 '사람이 정리한 검색결과'가 제공되고 있다.
우수한 검색서비스라는 것이 결코 우수한 검색엔진 기술만을 이야기 하는 것은 아니기에, 네이버의 현재 어프로치가 문제가 있다는 것은 아니지만, 향후 구글에서 본격적으로 자동화된 'Universal Search'를 제공한다면, 순식간에 경쟁상황이 바뀔 수도 있을까?
한쪽은 검색대상 데이터가 너무 적어서 통합검색을 제공하기 시작했고(네이버), 한쪽은 검색데이터가 충분히 많지만 양쪽 모두 사용자에게 좀 더 정확한 검새결과를 제공하기 위해서 통합검색을 제공한다고 한다. 2
그렇다면...
통합검색, 실시간 인기 검색어, 추천검색어나 심지어 지식in 조차도 결국 사용자가 정확한 답을 얻기 위해 제공되는 기능이다. 지금까지 네이버는 자신의 테두리안에 '신뢰할 수 있는 컨텐츠'를 쌓고, '잘 가공하여' 통합검색을 제공해 왔다.
네이버가 가지고 있는 컨텐츠에 비해 구글은 가지고 있는 것이 없기에 통합검색 결과도 제공할 것이 별로 없어 보인다. 하지만, UCC, 블로그 등의 참여하는 다수가 늘어나고, 이들에 의해 생산되는 컨텐츠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면, 구글의 도전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여진다.
폐쇄된 형태의 국내 포털 생태계에 소수의 이단아로 생각했던 참여하는 사용자들이 이제 쉽게 주위에서 찾아볼 수 있게되는 것을 보면, 기존 포털 생태계의 변화가 시작되었고, 가장 확실한 수익을 보장하는 검색서비스에서 판도의 변화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뱀다리1) 제목이 낚시성으로 보이는 듯해서 수정했음
뱀다리2) NHN Stories는 네이버의 기업블로그 같은데, 왜 트랙백이나 댓글을 걸 수 없을까?
뱀다리3) 이런 법이 과연 필요할 지 모르겠지만, 법에서 조차 '자동검색'과 '편집검색'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네요 ^^ [관련기사 : `검색서비스사업자법` 만든다]
NHN의 기업 블로그인 NHN 스토리에 '세계 최초 네이버 통합검색 스토리'라는 재미있는 이야기가 올라왔다. 구글의 Universal Search 이후에 네이버에서 검색에서 자신들이 걸어온 길을 담담하게 이야기 하고 있다.
2000년에 통합검색이 왜 시작되었는지, 그리고, 신선했던 QA검색 서비스에 대한 이야기도 하면서, 세계화된 통합검색의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
통합검색의 세계화
2000년의 상황이나 지금의 상황 모두, 사용자들의 검색에 대한 요구에 비해 검색 대상이 되는 데이터가 한때, 네이버의 검색에서의 주요한 정책 중 하나가 '신뢰할 수 있는 컨텐츠의 확보'였을 정도로 부족해서 검색해서 보여줄 것이 없는 상황은 그리 바뀌지 않은 것 같다.
초창기의 통합검색은 웹검색과 디렉토리검색으로 구분되어 제공되는 검색결과를 검색대상 데이터의 형태나 종류에 따라 그룹핑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제공되었고, 그 결과는 검색서비스 운영의 묘를 살린 기획의 네이버 다운 '검색기획의 승리'라고 할 수 있다.(지식in의 성과를 바탕으로) 1
구글에서 'Universal Search'라는 것을 들고 나오게되면서, 한국형 검색의 전형이라고 말할 수 있었던 '통합검색'의 세계화가 이루어지는 것 같아 감개무량한가?
[구글 Universal Search - Web 검색결과]
[구글 Universal Search - 비디오 검색결과]
[구글 Universal Search - 뉴스 검색결과]
개인적으로 오늘 올라온 네이버의 글을 읽어보면서, 본격적으로 네이버와 구글이 국내시장을 두고 경쟁을 시작하겠구나 하는 생각과 함께, '사람'과 '기계'의 대결이 될 것 같은 생각이 든다.
통합검색은 발전된 모델인가?
현재 네이버 통합검색을 보면, 지금은 기본적인 통합검색의 원칙인 '검색대상 데이터'에 의해 탭이 가변적이고, 위치가 가변적인 것은 그대로이고, 여기에 네이버 검색의 장점인 '사람이 정리한 검색결과'가 제공되고 있다.
우수한 검색서비스라는 것이 결코 우수한 검색엔진 기술만을 이야기 하는 것은 아니기에, 네이버의 현재 어프로치가 문제가 있다는 것은 아니지만, 향후 구글에서 본격적으로 자동화된 'Universal Search'를 제공한다면, 순식간에 경쟁상황이 바뀔 수도 있을까?
한쪽은 검색대상 데이터가 너무 적어서 통합검색을 제공하기 시작했고(네이버), 한쪽은 검색데이터가 충분히 많지만 양쪽 모두 사용자에게 좀 더 정확한 검새결과를 제공하기 위해서 통합검색을 제공한다고 한다. 2
그렇다면...
통합검색, 실시간 인기 검색어, 추천검색어나 심지어 지식in 조차도 결국 사용자가 정확한 답을 얻기 위해 제공되는 기능이다. 지금까지 네이버는 자신의 테두리안에 '신뢰할 수 있는 컨텐츠'를 쌓고, '잘 가공하여' 통합검색을 제공해 왔다.
네이버가 가지고 있는 컨텐츠에 비해 구글은 가지고 있는 것이 없기에 통합검색 결과도 제공할 것이 별로 없어 보인다. 하지만, UCC, 블로그 등의 참여하는 다수가 늘어나고, 이들에 의해 생산되는 컨텐츠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면, 구글의 도전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여진다.
폐쇄된 형태의 국내 포털 생태계에 소수의 이단아로 생각했던 참여하는 사용자들이 이제 쉽게 주위에서 찾아볼 수 있게되는 것을 보면, 기존 포털 생태계의 변화가 시작되었고, 가장 확실한 수익을 보장하는 검색서비스에서 판도의 변화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뱀다리1) 제목이 낚시성으로 보이는 듯해서 수정했음
뱀다리2) NHN Stories는 네이버의 기업블로그 같은데, 왜 트랙백이나 댓글을 걸 수 없을까?
뱀다리3) 이런 법이 과연 필요할 지 모르겠지만, 법에서 조차 '자동검색'과 '편집검색'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네요 ^^ [관련기사 : `검색서비스사업자법` 만든다]
반응형
'Techn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선검색은 어떻게 될 것인가? (1) | 2007.07.08 |
---|---|
검색서비스에 사용자의 참여를 반영하려면 (1) | 2007.06.26 |
[검색엔진]ChaCha (0) | 2007.06.25 |
[검색엔진]Hakia (1) | 2007.06.18 |
실시간 검색어 (2) | 2007.06.13 |
검색엔진 성능평가 (0) | 2007.06.05 |
검색결과의 Visualization (0) | 2007.05.31 |
앞으로 예상되는 검색서비스 (0) | 2007.05.12 |